[페로칼럼] 탄소중립, 정부 역할 제고‧시급하다
[페로칼럼] 탄소중립, 정부 역할 제고‧시급하다
  • 정하영
  • 승인 2022.01.20 0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우리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 선업과 함께 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NDC)를 상향조정 확정했다. 철강산업의 고민이 더욱 커졌음은 물론이다.

1992년 리오데자네이로에서의 기후변화협약 채택 이후 약 30년 만에 탄소중립,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사회와 경제를 가늠하는 새로운 기준이 되었다. 탄소중립은 이제 피할 수 없는 현실로 각국 정부의 역할과 지원은 국가적 과제로 당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철강산업에서는 수소환원제철이 궁극적 해결 방안으로 세계 각국이 개발과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당한 기간과 투자가 불가피하다.

막대한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하며 수소 역시 저렴한 가격으로 원활하게 공급해줘야 한다. 이러한 그린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하지만 이를 수행할 우리 정부의 전략과 계획은 아직이다. 철강업계도 수소환원 기술개발과 설비를 위하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또 신설비 대체로 인한 기존 설비의 매몰이 불가피해 이 또한 엄청난 비용을 요구하고 있다.

탄소중립 실현 중간 과정에서 전기로와 철스크랩이 대안으로 부상 중이다. IEA(국제에너지기구)는 2020년 ‘철강산업 로드맵’에서 2050년 고로 비중은 현재의 70%에서 33%로 감소하고 철스크랩 베이스의 전기로 38%, DRI(직접환원철) 베이스의 전기로 19% 등 전기로 비중이 60% 가까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그 결과 철원 역시 선철은 64%에서 30%로 감소하는 반면 철스크랩은 31%에서 54%로, DRI는 5%에서 16%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적으로 철스크랩 발생은 제한적이다. ‘원료 보호주의’ 확산은 이미 세계적 추세이며 철스크랩의 경우 더욱 빨리, 강하게 확산되고 있다. 우리 역시 철스크랩의 가격 안정과 확보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정부와 업계의 대안과 비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나아가 원료를 포함한 철강 전체의 중장기 수급 전망이 꼭 필요하다.

한편 전기로와 철스크랩 활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궁극적 해법은 수소환원제철이다. 이를 위한 철강 주요국들의 계획과 투자는 치밀하고 과감하다. 유럽과 미국은 물론 가장 속도가 늦었던 일본도 최근 2조엔의 그린이노베이션기금을 조성키로 했고 특히 철강산업의 수소환원을 위한 4대 과제 선정과 10년간 1935억엔의 지원계획을 확정했다. 그런데 우리의 수소환원제철 등 기술 연구개발 사업은 예타 사업으로서 그 타당성 여부를 아직 검토 중이다. 면제 사업이 되지 못하다보니 대략 2년 정도의 시간이 늦춰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환경에 취약한 철강산업의 구조적 전환이 목전에 다가와 있다. 이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우리 철강사들의 경영전략, 특히 정부의 산업정책에 좀 더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