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스틸워치] 베트남 철강산업 : 특징 및 철강수요 전망(2)
[아시안스틸워치] 베트남 철강산업 : 특징 및 철강수요 전망(2)
  • 박성민
  • 승인 2019.09.15 1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트남 철강 수요 건설산업이 대부분, 판재류 수요도 건설업이 주도
2018년 철강재 수요 2200만톤 추정, 건설용 철강수요로 안정적 증가
2017년 FHS 가동 후 판재류 급속 확대, HR 생산 2020년 600만톤 전망
2020년까지 GDP 성장률 연평균 6.5% 유지 시 철강 수요 2540만톤


국내 유일의 철강경제 전문 연구기관인 포스코경영연구원이 9월 8일 아시안스틸워치 제7호를 발행했다.

이번 호에서는 베트남 철강산업을 특집으로 다뤘다. 본지는 동남아 최대 성장지역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베트남 철강산업의 특징 및 향후 수요 전망을 번역, 정리해 게재한다.

특히 아시안스틸워치와 함께 지난 5월 말 한국무역협회의 베트남 철강산업 보고서도 함께 참고했다.
 

◆ 건설용 수요가 특히 많은 베트남

봉형강류 생산 증가, 그리고 건설용 철강재를 생산하기 위한 열연 설비 도입은 베트남 철강 수요산업들이 건설에 크게 의존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베트남은 태국과 인도네시아에 비해 자동차와 기계용 철강 수요가 적어 판재류 시장 역시 건설산업이 주도하고 있다.

베트남 및 아세안 주요국 건설용 철강재 수요 비교
베트남 및 아세안 주요국 건설용 철강재 수요 비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마이너스 성장한 후에 베트남 건설업은 연평균 8%대의 성장률을 회복했다.

베트남 건설시장은 2017년에 127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빠른 성장으로 교통, 에너지, 통신, 주택용 수요가 증가했다.

베트남 건설업은 2018~2022년 7.2%의 연평균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BMI리서치는 2027년 건설업 시장규모는 34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건설업체 수는 2016년 1만3432개에서 2017년 1만3510개로 늘었다. 특히 2016년 320개였던 외국 건설사가 2017년 374개로 늘어난 것은 특히 긍정적이다. 정부가 부동산과 인프라에 대한 민간 및 외국인 투자 유치를 적극 추진한 결과다.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2020~2050 철도 개발 전략’에 의해 철도 현대화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또 ‘2020~2030 베트남 항만 시스템 개발 마스터 플랜’에 따라 6개 권역(북부, 북중부, 중부, 남중부, 남동부, 메콩강 삼각주)의 항만과 항만관련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여기에 더해 주요 도로 및 지역 간 연결 증대를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있다.

도로 및 철도 인프라 시장은 2018~2027년에 연평균 5.4~7.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것들이 BMI 리서치가 제시한 대로 건설산업의 지속적인 급속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정부는 서민 및 저임금 노동자에 대한 중간 규모 주택 공급을 늘리고 농촌 저소득층 가구에 대한 사회주택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2020년까지 1인당 평균 주택면적을 25㎡로 늘리기 위해 도시지역에 1250만 가구의 주택을 건설하고 있다.

추가로 베트남 정부는 2015년 베트남 주택법 개정을 통해 보다 시장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외국인의 부동산과 주택 매매, 임대, 재임대를 허용했다.

 

◆ 베트남 산업 구조와 철강 수요와의 상관관계

철강 수요의 변화는 수요산업의 철강재 요구를 분석하고 철강재 소비구조 현황과 미래를 예측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베트남의 건설업과 실제 철강 수요의 상관관계는 플러스 0.81(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철강 수요산업의 성장 구조와 소재에 대한 요구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중장기 철강산업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철강산업은 기초소재 제조 분야로서 산업간 연관효과가 아주 크다.

베트남의 건설용 철강 수요는 주거지역 확대, 사회주택 확대 계획,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아파트 확대와 고층 건물의 확산 등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8년에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베트남 철강 수요는 비슷한 규모의 봉형강류와 판재류 수요로 2200만톤에 달했다. 제품 형태에 따라 후판과 EG(전기아연도강판)는 100% 수입에 의존했다.

베트남철강협회(VSA)에 따르면 2017년 총수요 990만톤인 열연강판의 경우 870만톤을 수입했다. 건설용 코팅강재 수요는 438만톤인데 이중 75만톤의 용융도금강판(GI), 39만톤의 갈바륨강판(GL), 28만톤의 도장강판(컬러강판) 수요가 존재했다.

2017년 베트남 철강재 공급과 수요 현황
2017년 베트남 철강재 공급과 수요 현황

제품별 수요구조를 보면 건설시장의 확대로 봉형강류가 전체 철강 수요의 49%를 차지한다. 판재류 수요 역시 주로 건설용 때문에 증가하고 있다. 제품별 소비구조와 맞물려 건설용 철강 수요는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주택 공급비율이 높아지고 도시기반시설 건설이 늘면서 베트남의 철강 소비량은 2020년에 25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7년 가동을 시작한 포모사하띤스틸(FHS)과 호아팟그룹(HPG)의 새로운 생산 참여로 2020년에 열연강판 생산은 500만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설비 개조와 신규 투자의 결과로 코팅 강재를 포함한 판재류의 공급은 증가할 전망이다.

이미 진행 중인 투자를 반영했을 때, 열연강판 생산은 2020년에 600만톤에 이를 전망이다. 철강 수요 증가율을 고려하면 자급률 상승과 함께 수입 증가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열연강판 생산은 일반적으로 아연도금과 표면처리강판에 사용되기 때문에 차공정용 비율은 73%로 상대적으로 높다. 열연 제품은 주택과 SOC 등을 포함한 건설용 반제품이 대부분이다.

베트남의 경제성장률(GDP)이 2020년까지 연평균 6.5%를 유지한다면 완제품 철강 수요는 2540만톤까지 증가할 것이다. 판재류 수요는 성장률 5.0%에서 1280만톤, 봉형강류 수요는 성장률 5.9%에서 1250만톤에 이를 전망이다.

베트남 철강재 제품별 수요 전망 (단위 : 천톤)
베트남 철강재 제품별 수요 전망 (단위 : 천톤)

 

◆ 철강 수요 전망

베트남의 철강 수요는 베트남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정부가 인프라와 주택 건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성장을 계속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화를 위한 건설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다.

도시인구의 급증은 도시 주택 수요를 끌어올릴 것이다. 그러나 세계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무역규제 증가, 전기료 인상, 부동산시장 둔화 등은 베트남의 철강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철강산업은 낮은 1인당 철강 소비량과 해외직접투자(FDI)의 안정적 유입을 감안할 때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