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A 전망②] 소비국 ‘톱10’ 한국 5위 유지 베트남 '신규진입'
[WSA 전망②] 소비국 ‘톱10’ 한국 5위 유지 베트남 '신규진입'
  • 정하영
  • 승인 2021.04.16 0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올해 10억톤 최초 넘어설 듯, 베트남 9위로 10위권 진입
건설산업 철강 수요 2022년 2019년 종전 수준 회복 전망
자동차산업 올해 강한 회복으로 2019년 수준 넘어서, 내년 최대 갱신

세계철강협회(WSA)가 15일(현지 시간) 발표한 세계 철강 단기수요전망(Short Range Outlook)의 국가별 ‘톱10’은 지난 6월 전망과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멕시코가 10위로 진입한데 이어 2020년에는 베트남이 9위로 재진입했다. 1~8위는 중국, 인도, 미국, 일본, 한국, 러시아, 독일, 터키 순으로 변동이 없었다. 이탈리아는 10위 밖으로 내려갔다.

WSA 단기 수요 전망 (상위 10개국, 21.4.16)  (출처 WSA 철강경제위원회)
WSA 단기 수요 전망 (상위 10개국, 21.4.16) (출처 WSA 철강경제위원회)

(철강 수요산업)

◆ 건설산업

2020년 전 세계 건설산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COVID 봉쇄 조치로 인해 많은 국가에서 건설공사 중단과 투자계획 수정으로 이어져 2009년보다 각각 3.9%와 1.9% 감소했다. 몇몇 개발도상국에서는, 전염병 지원 프로그램을 위해 인프라 투자에 대한 재정 자원이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필리핀, 인도, 멕시코 등에서 건설 감소세가 가장 심했다. 건설 경기 회복 속도에는 지역, 국가별로 편차가 있을 것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건설사업 재개가 COVID 규제, 인력 부족, 민간투자 약화로 제약을 받고 있다. 동시에 정부가 복구 도구로서 인프라 투자를 우선시하면서 건설 활동이 해를 거듭할수록 활발하게 진행되는 나라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경우 건설부문이 2020년 4월 말 정상 가동으로 돌아섰고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건설산업 업종별로 엇갈리는 추세가 팬데믹 이후 현실화 될 전망이다. 원격근무, 전자상거래, 출장 감소 등으로 상업용 건물과 여행 관련 시설에 대한 수요는 계속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다.
동시에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물류 관련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앞으로도 성장 분야로 자리잡을 것이다. 인프라 프로젝트는 중요해졌고 때때로 많은 나라에서 경제 회복을 위한 유일한 처방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신흥국에서 강력한 원동력이 될 전망이다. 선진국에서는 녹색 복구 프로그램과 기반 시설 갱신이 건설 수요를 촉진할 것이다.

글로벌 건설은 2022년에 2019년 수준을 넘어설 전망이다.
 

◆ 자동차산업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부문은 2020년 2분기에 급감하면서 철강 사용 부문 중 가장 큰 폭의 하락을 보였다. 락다운(Lock Down) 이후 회복세가 예상보다 다소 견조했지만 2020년 자동차 산업의 감소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두 자릿수 규모였다.

다만 자동차 분야는 2021년 강하게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복세는 억눌린 수요와 안전 우려로 인한 개인 교통 이용 증가, 가계 현금 저축 증가 등이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생산량이 2019년 수준을 넘어설 미국에서 특히 회복세가 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 자동차산업은 2022년에 2019년 수준으로 복귀할 전망이다.

예상보다 빠른 수요 회복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등 부품 부족으로 2021년 초 공급망 병목현상이 또 발생하고 있어 회복 잠재력이 제약될 수 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위기에도 불구하고 EU에서 하이브리드차와 완전전기차판매가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는 사실이다. 2020년에 EU의 하이브리와 전기차 판매는 2019년 대비 각각 11.9%, 10.5% 증가해 전체 자동차 판매 중 비중이 전체의 5.7%, 3.0%에 이르게 됐다. 
 

◆ 기계산업

글로벌 기계 분야는 2020년 투자 감소로 타격을 받았지만 2009년에 비해 감소폭이 크게 줄었다. 자신감 부족과 불확실성은 여전히 제약 요인이지만 회복은 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도로 세계화된 공급망 때문에, 폐쇄 기간 동안 기계 산업에 나타난 주요 문제들 중 하나가 공급망 붕괴였다. 그 결과, 세계 기계산업계는 유연성과 신뢰성을 위해 공급망 검토에 착수했다.

기계 분야에 영향을 미칠 또 다른 중요한 요인은 디지털화와 자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경향이다. 이런 분야에서의 투자가 기계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이다.

또한, 녹색 투자 계획과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는 기계 분야의 또 다른 성장 동력이 될 것이 확실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