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칼럼] 디젤게이트와 고로조업정지 행정명령
[페로칼럼] 디젤게이트와 고로조업정지 행정명령
  • 김종혁 국장
  • 승인 2019.06.24 0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의 공장을 미래를 위해 적합하게 만들 것”

2018년 11월16일(현지시간). 폭스바겐은 이사회에서 2022년부터 독일의 2개 공장을 전기차 생산라인으로 전격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폭스바겐은 이후 성명을 내고 미래를 위한 공장 건설을 천명했다. 2023년까지 총 투자액의 3분의1인 440억 유로를 투입해 전기차 외 무인차 구축, 차량 디지털화 등의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다.

발단은 2015년 9월 폭스바겐의 배기가스 조작 스캔들, 이른바 ’디젤게이트’이다. 글로벌 기업의 이 같은 스캔들은 온 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다. 전 세계 약 1000만 대, 본 고장인 유럽에서 700만 대, 미국 50만 대 등 폭스바겐 아우디 등의 디젤차가 대거 포함됐다. 우리나라에서는 13만 대에 이르는 차가 리콜됐다.

글로벌 10대 메이커, 100년 역사를 눈앞에 둔 폭스바겐(1937년 설립)의 위상은 단숨에 무너졌다. 첫째는 전세계 소비자들을 기만한 데 대한 배신감, 또 하나는 국민의 생명과 연결된 유해가스를 몰래 배출해다는 괘씸죄가 전세계 고객들의 등을 돌리게 했다.

김종혁 페로타임즈 국장
김종혁 페로타임즈 국장

국내 양대 철강기업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고로조업정지 행정명령을 받았다. 환경단체가 4월 대기환경보전법 위한 혐의로 포스코를 고발하면서부터다. 경북도에 이어 충남도 등 지자체들이 조업정지 행정명령을 냈다. 환경단체, 지자체, 해당기업 및 재계, 정치권에 이르기까지 찬반을 놓고 첨예한 주장으로 맞섰다.

찬성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유해가스 방출을 현 상태로 유지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고, 반대는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이 흔들리면 자동차 조선 건설 등 모든 산업이 마비된다는 것이다. 어느 한쪽으로 기울기 어려운 쟁점인 만큼 약 2개월간 달아오른 갑을논박은 이제 민감하고 신중한 분위기로 2차 국면을 맞고 있다.

이번 행정명령은 경제산업 논리에서 이제 전국민적 관심으로 번진 상황이어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최소 벌금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핵심은 고로조업정지가 내달 15일(현대제철) 실시되든 그 반대의 결론이든 철강산업에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 당장의 소나기를 피하고 보자는 식의 대응은 회사 존폐를 위협하는 또 한 번, 아니 되돌릴 수 없는 치명적 실수를 범하는 것과 같다. 특히 이번 고로조업정지 처분은 철옹성으로 여겨졌던 일등 기업들의 몰락을 암시하는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과도 같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어떻게 대비하느냐에 따라 100년 기업의 근간을 흔들 수도 있고, 더 견고한 성을 쌓는 초석을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철저한 준비는 시장 지배력, 현재의 영화(?)를 유지하기 위해 정관계 기업간 연대강화 등 단순히 우군을 모으고 힘을 합하는 차원이 돼서는 안 된다. 기득권을 내려놓고 미래를 고민하고 준비하는 창업, 개척자의 의지와 결단이 필요하다.

고로는 18세기 산업혁명으로부터 21세기 현재의 전세계 철강산업 발전을 견인한 동력이다. 그 엔진은 이제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 있다는 심각한 고찰이 있어야 한다. 자동차는 이미 그 심장인 내연기관에서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으로 엔진을 바꾸는 단계다. 밀월관계인 석유화학산업은 더 큰 성장을 거듭했고 세계적 부호들을 탄생시켰다. 이제 산업역사의 ‘코어(core)’ 바뀌면서 부와 경제, 산업의 지형은 그 종적을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뒤바뀔 수 있다.

기업의 노력과 함께 뒤따라야 할 것은 산업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정부 정책의 속도조절이 필수적이다. 인기영합 식의 정책 결정으로 기업을 멍들게 해서는 안된다.

철강산업은 이제 ‘우리의 공장을 미래를 위해 적합하게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